서울 안심소득 신청방법 및 홈페이지 바로가기
서울에서 진행하는 안전한 소득을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초부터 많은 사람이 고금리와 고물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서울 안심소득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경제적 약자의 소득 일부를 정산하여 채워주는 제도로 올해는 지원대상을 더 확대한다고 합니다.
2022년부터 시작되었던 서울 안심소득 제도는 지난해 대비해서 올해는 신청을 2배 이상 받는다고 합니다.
신청 자체는 1월 25일부터 가능하며 아래 내용을 참고 해서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 안심소득이란?
서울 안심소득은 저소득층인 사람들에게 부족한 만큼의 소득액을 채워주는 지원 정책이라고 보면 됩니다.
서울시에서 딱 정해놓은 '기준점'에 따라서 그에 미달하는 금액을 지원해주는 거라고 보면 됩니다.
한마디로 신청해서 선정된다면 부족한 소득금액은 서울시에서 지원을 해주는 것입니다.
이는 오 시장의 공약으로 서울시에서도 중요하게 생각하며 관심 있게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1월부터 확대 시행이 되었습니다.
1월부터 접수를 하기 시작해서 선정된다면 7월부터 약 2년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안심소득 신청기간 및 방법
서울 안심소득을 신청할 수 있는 기간으로는 2023년 1월 25일부터 2월 10일까지입니다. 온라인은 물론 모바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토요일인 28일까지는 홀짝제로 신청할 수 있고, 그 이후 날짜에는 이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든 브라우저가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특이하게도 크롬을 통해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은 상관이 없으니 편하게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만약에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하는 게 어려우시다면 직접 전화를 해서 신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잘 모르는 어르신 분들도 신청이 가능한 것입니다.
서울 안심소득 신청 대상
첫째로, 서울시 실 거주자만 가능합니다.
서울시에서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시민에게만 해당하는 내용이며, 주소는 서울로 해두고 다른 지역에서 실거주하는 시민은 신청이 아예 불가합니다.
서울 안심소득 시스템을 통해 지역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니, 실제로 거주하고 계시는 분들만 신청하셔야 합니다.
둘째로, 재산평가액이 3억 2,600만 원 이하인 가구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재산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재산평가액이 해당 금액보다 적어야 합니다. 재산평가액은 가구의 재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뜻합니다.
재산은 일반적인 재산과 금융재산 자동차 재산 등이 있으며 부채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금이나 임대보증금 등을 말합니다.
셋째로, 중위소득 85% 이하인 가구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올해는 총 1,100가구를 2년 동안 지원합니다.
중위소득이 50% 이하 소득이 0원일 경우의 최대 금액을 명시한 것이며, 만약에 소득이 있다면 그 소득금액만큼을 차감하고서 지원을 받게 됩니다.
서울 안심소득을 받는다면 1년에 한 번 금액을 재조정하게 됩니다. 소득이 증가할 경우 지원금은 줄어들고 반대로 소득이 줄었다면 지원금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일 년에 한번은 금액 조정이 들어가고, 이렇게 해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소득을 벌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